2010, Contemporary Art From Korea – Peppermint Candy

English / Korean


Contemporary Art From Korea – Peppermint Candy

Exhibition Catalog for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ul, Korea, August 2010

Advertisement, which determines the current of popular culture, has established itself as an important medium of communication for not only the maker and the consumer but the artist and the audience as well. Gwon Osang’s photographical sculpture appropriates the images from the magazine advertisements of Gucci, Ungaro, and Diesel. His work is closely re-lated to the personal pleasure, dream, voyeuristic desire, and narcissism with which the mass media presents us. For his ‘The Flat’ series he carefully clips out the photographic images of the icons of consumer desire such as watches, jewelry, cosmetic products, shoes, and bags, attaches supporting objects on the backs of those images so as to set them up as if they were still-life sculptures and photographs them. Through this process, he endows two-dimensional objects with the three-dimensional status of a sculpture. The Flat 16, 17, 18, which is made of three panels, is composed of the images of jewels of dazzling brilliance taken from the 6-year copies of a Korean magazine entitled ‘Noblesse’. His sculptural work, Red sun is originated from the poses assumed by fashion models for fashion advertisements, and reveals his inter-est in ‘poses of momentary defenselessness’. Having captured the capitalist attributes of arts, he understands both a commodity and an artwork as some things to be used up and con-sumed. Since he vests the same status in these two objects, it stands to reason that a designed, industrial product is transformed into an artwork in his work.

한국현대미술 – 박하사탕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한국, 전시도록, 2010년 8월

대중문화의 결정체인 광고는 생산자와 소비자뿐만 아니라 예술가와 관객의 중요한 소통의 매개체로써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권오상의 사진 조각 작업은 구찌, 웅가로, 디젤 등의 잡지 광고 이미지에서 차용된다. 그의 작업은 대중매체가 우리에게 선사하는 개인적 쾌락과 꿈의 추구, 관음적 욕망과 나르시시즘이라는 측면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의 <The Flat> 연작은 패션 잡지에서 소비 욕망의 아이콘인 시계, 보석, 화장품, 구두, 가방 등의 광고사진을 윤곽선을 따라 하나하나 섬세하게 오려내어 그 뒷면에 철사로 지지대를 붙여 마치 정물 조각처럼 바닥에 세우고 대형 카메라로 촬영한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그는 이차원의 평면에 삼차원 조각의 지위를 부여한다. 세 폭으로 이루어진 <The Flat 16, 17, 18>은 한국잡지 ‘노블레스’에 6년간 실렸던 현란한 광채의 보석들로 구성된다. 조각 <레드 선>은 패션 광고에서의 모델의 자세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잠시 무방비 상태가 되는 포즈”에 대한 작가의 관심을 보여준다. 예술의 자본주의적 속성에 대한 간파로부터 작가는 ‘상품’과 ‘작품’ 양자를 모두 ‘소모’되거나 ‘소비’되는 것으로 이해한다. 이들은 동일한 선상에 다루어지므로, 디자인된 공산품을 예술작품으로 전환시키는 것은 자연스런 결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