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Memories of Future, Catalog for Leeum

English / Korean

Memories of Future

Exhibition Catalog for Leeum, Seoul, Korea, August 2010

 

 Photography is the easiest and most effective tool for capturing three-dimensional spaces in two-dimensional images. Thus, far more than painting or sculpture, its functional aspect of representing the reality as is has been greatly emphasized. Photographic images, however, constitute their own world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reality. Furthermore, with the growing possibilities of computer-assisted manipulation and transformation in recent years, almost no one believes that photographs show the reality as is. Osang Gwon, who takes pictures of actual people and turning the pictures into three-dimensional objects, traverses the boundaries between photography and sculpture, 2-D and 3-D, illusion and reality, and readily occupies an unclear position in artistic genres.

The important keyword in understanding Gwon’s work can be found in his attitude toward sculpture. The point of departure for his work early on was a desire to make “light sculpture.” Unlike traditional sculpture made mainly with heavy materials like bronze and marble, Gwon’s sculpture consists of photographic prints and a light interior structure used to maintain the form. For this reason, his work has been called “photo-sculpture.” Not only in terms of the method of making but also in terms of material, however, Gwon’s work is far from portrait sculpture or photographic portraiture. Although he is certainly deconstructing elements of traditional sculpture and attempting a hybridization of genres, Gwon voluntarily calls himself a sculptor. That his work originated from the foundation of sculpture even though it has moved toward causing internal fissures within the concept of traditional sculpture in a unique way serves as an important clue for understanding his art.

Gwon’s photo-sculpture began to be known in 2001 with his first solo exhibition titled Deodorant Type. By giving his series this name—a kind of cosmetics that temporarily hides the smell of sweat—the artist metaphorically points toward the temporary optical trick of his work that confuses reality and illusory imagery. Already in early 1998, Gwon started creating three-dimensional objects by putting photographs together. His works at this time were of small, tabletop scales and also light and empty inside. Since then, he added internal structures to make almost life-sized portraits whose exteriors consist entirely of photographic prints. He uses the unprecedented and unique method of taking hundreds of photos of all parts of his models and putting them together to form sculptures. Furthermore, by intentionally revealing gaps between the prints, Gwon’s work emphasizes the paradoxical fact that his sculptures are irregular composites of numerous images. The artist has stated that he began the Deodorant Type series while thinking about Auguste Rodin’s The Burghers of Calais. This is clearly instructive when we recall the fact that Rodin broke away from the conventions of monumental sculpture not only in his arrangement of figures but also by leaving visible in his sculpture the making processes such as the gas bubbles that occur during the casting. Following Deodorant Type, Gwon embarked on The Flat and The Sculpture series. In the former, he cut out images of luxury watches, cosmetics, and jewelry from magazine pages, scanned them and arranged them densely standing up on the floor, and then rephotographed them. Through the complex processes of actual objects becoming photos, then three-dimensional objects, and again photos, the work reveals the artist’s consistent methodology of crossing between two dimensions and three dimensions. In The Sculpture series, Gwon sculpted cars in bronze or clay. Photography is not used at all in this series, and the movement of the artist’s hand is left on the clay molds like painterly touches. In other words, Gwon attempted to turn the exteriors of the sculptures into flat surfaces through painterly techniques. As evident in these examples, Gwon fluidly traverses the concepts of volume and surface, and his unpredictable materials and methodologies cause viewers to focus not on the meanings but the surfaces of his sculpture.

Gwon’s contribution in the present exhibition is an extension of Deodorant Type and The Sculpture. His works are exhibited in unexpected locations in unconventional manners. On top of the Black Box gallery is a sculpture of a person standing on a bag precariously. Staring into space, the person seems about to fall down. The portrait sculptures inside the gallery are placed on low pedestals or directly on the floor. Viewers, freely walking amongst them, experience the sculptures that exist in the same temporal space as they themselves are rather than in a hermetic space alienated from the reality. The most notable work is perhaps Milwaukee, which combines the artist’s interest in cars and motorcycles, which is evident in The Sculpture series, with his photosculptural portraiture. Other portrait sculptures assume a variety of poses, lying upside down, standing against a column, or simply standing.

Strolling amongst them rather than looking at them from a distance, viewers can reinterpret and form new meanings by thinking about these sculptures vis-à-vis their personal experiences. Furthermore, upon discovering the two-dimensional photos awkwardly put together to form the sculptures, they are obliged to think about the truth and fiction of imagery and even question, “what is sculpture?”

 

미래의 기억들(Memories of Future)

Leeum, Seoul, Korea 전시도록, 2010년 8월

사진은 3차원의 실제 공간을 2차원으로 이미지화하는데 가장 손쉽고 효과적인 도구이며,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반영하는 기능적 측면이 더욱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사진 이미지는 현실과는 또 다른 세계이며, 더욱이 컴퓨터 기술로 조작, 변형이 가능해진 최근에는 사진이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여 준다고 믿는 사람은 거의 없다. 실제 인물을 사진으로 찍어 그것을 다시 입체로 만들어 내는 권오상은 사진과 조각, 평면과 입체, 환영과 실재를 넘나들며 미술의 장르에서 불분명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권오상의 작업을 이해할 중요한 키워드는 바로 그가 조각을 바라보는 태도이다. 애초에 그의 작업의 출발점이 되었던 것은 ‘가벼운 조각’을 만들고자 함이었다. 그의 조각 작품은 브론즈나 대리석과 같은 무거운 재료로 제작되었던 전통적인 조각과는 달리 사진 인화지와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가벼운 구조물로 만들어졌다. 때문에 제작 방식이나 재료뿐 아니라 인물 조각 혹은 인물 사진의 전형을 탈피한 그의 작품은 ‘사진-조각’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곤 하였다. 그는 분명 전통 조각의 요소를 해체하고 장르 간의 혼성을 시도하고 있지만 스스로 조각가이기를 자처한다. 이렇듯 독특한 방식으로 전통 조각의 개념에 균열을 초래하고 있으나 조각이라는 기반에서 출발했음을 이해하는 것은 그의 작품을 감상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

권오상의 사진-조각 작업은 2001년 그의 첫 개인전 <데오도란트 타입(Deodorant Type)>에서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데오도란트란 땀 냄새를 일시적으로 은폐하는 화장품의 일종으로, 작가는 사진-조각 연작에 이러한 제목을 붙임으로써 이미지의 환영과 실재에 대한 일시적 눈속임 효과를 은유한다. 1998년 초부터 그는 사진을 붙여 가며 입체를 구성하였으며, 책상에 올라갈 정도의 작은 사이즈와 속이 텅 비어있는 가벼운 조각이라는 점을 특징으로 출발했다. 이후 실제 인물의 크기와 비슷한 사이즈의 인물상에 인화된 사진을 붙여 만든 조각을 제작하였다. 모델의 신체를 부분별로 수백 번에 걸쳐 찍어 낸 후 그것을 인화해 하나의 조각상으로 만들어 낸 그의 기법은 전례없이 독특하다. 또한 깔끔한 마무리보다는 사진 사이사이의 틈을 드러냄으로써 이것이 수많은 이미지들의 불규칙한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각임을 역설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실제로 권오상은 로댕(Auguste Rodin)의 <칼레의 시민(The Burghers of Calais)>을 생각하며 ‘데오도란트 타입’ 시리즈를 제작하게 되었다는 언급을 하는데, 인물의 배치방식뿐 아니라 로댕이 주조시 생기는 기포와 제작 방식을 그대로 드러내며 기념비적 조각상의 틀을 깼다는 점과 연관성을 갖는다. ‘데오도란트 타입’ 이후 권오상은 ‘더 플랫(The Flat)’과 ‘더 스컵쳐(The Sculpture)’ 연작을 제작한다. ‘더 플랫’은 잡지에서 오려 낸 명품 시계나 화장품, 보석 등을 스캔해 빽빽하게 바닥에 세우고 이를 다시 사진으로 촬영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 역시 실물이 사진으로, 사진이 입체로, 다시 사진으로 재현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면서 입체와 평면을 넘나드는 일관된 작업 태도를 드러낸다. 이후 발표된 ‘더 스컵쳐’ 시리즈는, 람보르기니, 베이런과 같은 자동차와 모터바이크를 브론즈나 찰흙으로 제작한다. 이 연작에서 사진이라는 매체는 전면에 등장하지 않지만, 찰흙 주물 위에 손의 움직임을 회화적 터치로 남겼다. 즉, 회화적 기법을 이용해 조각 작품의 표면을 평면으로 환기시키고자 한 것이다. 이렇게 권오상은 조각을 기반으로 입체와 평면의 개념을 넘나드는 유연함을 보여 주며, 예기치 않은 재료와 기법으로 조각 작품의 의미가 아닌 표피에 집중하게 한다.

이번 전시의 출품작은 ‘데오도란트 타입’과 ‘더 스컵쳐’의 연장선상에 있다. 작품들은 뜻밖의 장소에서 비전통적인 방식으로 전시된다. 블랙박스 위에서는 가방 위에 불안하게 서있는 조각을 발견하게 된다. 허공을 응시하는 듯한 인물은 금방이라도 뛰어 올라가 잡지 않으면 아래로 떨어질 것만 같다. 전시장 안에서 만날 수 있는 인물 조각들은 낮은 좌대 위에 혹은 바닥에 놓였다. 관람객은 인물 조각 사이를 자유로이 걸어다니면서 현실과 유리된 진공상태의 작품이 아닌, 실제로 자신과 같은 시간에 존재하는 조각을 체험할 수 있다. 가장 눈에 띄는 작품은 <밀워키(Milwaukee)>인데, ‘더 스컵쳐’ 연작에서도 알 수 있듯 자동차나 모터바이크에 대한 그의 관심이 사진-조각의 인물상과 결합되어 제작되었다. 이 밖에 인물들은 거꾸로 누워 있거나 기둥에 기대거나, 서있는 등 여러 가지 포즈를 취하고 있는데, 관람객은 조각들 사이를 걸어다니면서 작품을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재해석하고 새로운 의미를 형성해 갈 수 있다.

조각 표면에 덧붙여진 2차원 사진 이미지의 파편들은 이미지의 진실과 허구, 그리고 나아가 ‘조각이란 무엇인가’에 대하여 생각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