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Contemporary Art of Osang Gwon, Hanseung Ryu

English / Korean

Contemporary Art of Osang Gwon

Hanseung Ryu, Curator,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1.
In general, Osang Gwon’s oeuvre consists largely of Deodorant TypeThe Flat, and The Sclupture series. Started in beginning of 1998, Deodorant Type is the oldest, most acclaimed of Gwon’s art practice. In the so-called ‘photo-sculpture’, the artist takes photographs of a subject in many angles, prints them out, then cuts and pastes them onto the carved sculptures. This original and remarkable idea was an unparalleled case in contemporary of art history. Obviously, the idea didn’t just spring up one day; the masterpieces were born as a result of a comprehensive contemplation on contemporary art, attributes of camera, and formative language of sculpture.

Gwon’s very first work was a representation of a chisel used in woodworking. He expressed a sculptural tool made of hard metal and wood with delicate paper. Then he started to broaden his art practice by making heads, busts, torsos, and full-length portraits in that order[1]. He received official recognition from the press when he presented his work A Statement of 540 Pieces on Twins (1999) in the Vacuum-packed Exhibition at Alternative Space Pool in August of 1999. And when he from his university in February 2000, his debut in the art world was swift and sophisticated.

Gwon’s photo-sculptures are, literally, sculptures that use photographs. Photographs replicate 3-dimensional form into a 2-dimenional surface. As a form becomes flat, the actual subject cannot be transferred on the photograph in exactitude. In order to recover the vanished 3-dimensionality, Gwon puts together the countless number of photographs like ‘moldings’ and constructs a 3-dimensional form. While it seems like an ingenious way of supplementing the weakness in photography, his work actually roots from the assumption that photography cannot perfectly reproduce the subject from the beginning, and that it can actually distort the subject. Photograph just captures a part of something 3-dimensional into something flat through a mechanical eye. Although the captured part is something real, Gwon’s work can create something that’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original subject when the photographs are connected and glued together. In other words, while each statement may be the truth, the result can vary in a thousand different ways according to how the statements are put together.

In addition, attributes of photography include magnification, reduction and reproduction. Like in A Statement of 540 Pieces on Twins, Gwon produced two works from one source. A mysterious work was produced, cleverly blending the real and virtual.

Gwon held his first solo exhibition in June 2001. The title of the exhibition was Deodorant Type, and he presented photo-sculptures of various subjects such as aliens, cars, dogs with two heads, twins and boulders. Gwon explained that what gave an overall explanation of the whole exhibition space was the Chinese Garden (2001) a portrayal of a boulder, a large work measured 2m in height and 1.5m in length. Instead of putting the boulder in the main space (which measuring about 330㎡), Gwon put it in a small space in the back, and placed nearby a woman in white gown holding a telescope, standing on a jagged boulder[2]. Gwon presented a Damas automobile, aliens, intertwined twins, two dogs, and jagged boulders in the main space.

There are often boulders in Japanese gardens. I believe that those boulders are amazing sculptural elements. Boulders can be a mountain, and what surrounds them can be the ocean. They’re quite symbolic. When constructing an exhibition, and filling up an empty space, one can install many works in the exhibition space. But when a small boulder is placed in a certain point like a piece in a game of Checkers, it can function as the center even though it isn’t the center. It can speak for the whole, as it creates an accent in the space[3].” (Excerpt from an interview with the artist, July 2012)

Deodorant in the title Deodorant Type is a product that alleviates human odor, especially from the armpit. Instead of essentially eliminating the source of the odor, a deodorant lightly cover the unpleasant smell so that people cannot smell it. This in many ways has similarities with the attributes of photo-sculpture. While Gwon captures the subject with the medium of photography, the captured image becomes mixed, creating something slightly different from the original subject[4].

 2.
Gwon presented The Flat series in 2003 and the Sculptural Series in 2005 successively. Weighing as little as 10g to as much as 2tons, the diversity in Gwon’s works makes it hard for people to believe that they come from the same artist.

As widely-acclaimed, Gwon cuts out advertisement images such as watches, makeup and jewelry, affixes wire behind them and props them up on the floor. He doesn’t let these sculptures — that are so light that they can be blown away by the wind — stand in the world alone; he installs a great number of them, photographs the installation and prints it. Going through a series of twists from 3-dimensional (product) to flat (image on the magazine), to 3-dimensional (sculpture) and again to flat (photograph), The Flat series has a clear association with Deodorant Type which skillfully combines the flatness of photography with 3-dimensionality of sculpture.

When one looks closely at the eyes, nose, lips and ears in the photo-sculptures, one can assume that the work is actually rather flat, even though such aspects could have be rendered more 3-dimensionally. On the other hand, the three-dimensionality of the simple sculptures in The Flat series can be detected upon a closer inspection. Even though it would’ve been easy for Gwon to have completely concealed the wire that pokes out behind the paper sculptures in a sneaky way, the glimpses of wire reminds the viewer that the paper sculptures are standing on the ground, and that they are strictly sculptural structures.

The most notable work from The Sculpture series is The Sculpture II (2005), which is a cast of the super car Lamborghini Murcielago in bronze with oil paint on its surface. Without ever having seen the actual car, Gwon created the work by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it from the internet, publications, magazines and mini-cars. In the sense that the work is a combination of information gathered from various mediums, this work, which is like a collection of statements, has a clear point of association with the methodology of Deodorant Type series. The process of making a plaster mold of the original form is similar to creating the negative in film. Similarly, the process of putting together the plaster mold and creating the form of the original is analogous to the printing process in photography.

While some already knew that bronze was the main material of The Sculpture II because its production process became a hot issue, it’s actually hard to tell what the material is as the surface is coated with thick orange paint (It could just as well have been color painted on plastic). However, the audience realizes that the work is made of bronze upon touching the work, and at that moment, they come to realize that the work is very heavy.

The Sculpture Ⅷ – Still life (2006) was the work that followed. The Sculpture series started to display many colors. Various objects are placed on a large pedestal in this all-in-one work portraying a studio. While Gwon had drawn a metaphor to pedestals through a boulder in A Statement of 420 Pieces on Twins, he has rarely used pedestals until then, nor installed anything on the floor to prop up his sculptural works[5]. Then all of a sudden, Gwon pays sharp attention to pedestals, because he realizes that there is something quite substantially significant in the attributes of the pedestal.

Deodorant Type series is met with changes in early 2000. In his solo exhibition in 2006 which presented the two series of works stated above, Gwon hybridized his Deodorant Type with Auguste Rodin’s ideas. Gwon presented a total of 5 photo-sculptures with Rodin’s The Burghers of Calais (1889) in mind. All figures in The Burghers of Calais are tied to a rope, are unable to resist. The figures are naked in Gwon’s Red Sun (2005-06) and Nobody (2005-06), a figure with his all portray a moment of hands in his coat in Gaze Motion (2005) and is holding plastic bags with both hands in Error (2005-06). They are all temporarily defenseless because both arms of the figures are not free.

The male figure in Step (2005-06) is stepping on a pedestal. The pedestal is the same size as the pedestal for The Burghers of Calais. Rodin is known to be the first artist in sculpture history to use a low pedestal. The model in Step comfortably has his one foot on the pedestal as if to be climbing stairs. The female figure in Slip Slider (2006-07) is always installed fallen off the pedestal. Most solitary sculpture works, except for reliefs or sculptures used as a subordinate element of architecture are usually traditionally placed vertically on the pedestal. Gwon is the only artist who can imagine such an interesting idea of a sculpture lying down horizontally on the floor, off the pedestal.

Then in June 2008, Gwon had his solo exhibition in Manchester, UK. While in Manchester for the Asian Triennial Manchester and an artist residency program, Manchester Museum of Art offered Gwon to host his solo exhibition.

Gwon remarked that the park was one of the things that impressed him most profoundly while he was staying in Manchester. Commonly in parks in Europe, there is a small square, and a figure or equestrian statue. Gwon ideologically transferred the park with a sculpture in it into the exhibition. The exhibition space in Manchester Museum of Art has quite a high in ceiling, measuring over 6m in height. Had Gwon simply spread the photo-sculptures in the space, the high ceiling space would have been overwhelming and the exhibition would’ve ended up in dull composition.

First, Gwon placed two low and wide pedestals that simplified the square in the middle of the exhibition space, and then arranged the photo-sculptures throughout the exhibition space. Each of the photo-sculptures was placed on its own pedestal which ranges in size with some soaring high and some ordinary. Suggesting an equestrian sculpture, Manchester Mounted Police (2008) looked over the whole exhibition space, with Pieta (2007) on its opposite side. The exhibition also presented figures such as a figure leaning on the pedestal, a figure that has fallen next to the pedestal, and a figure standing showing both of his hands, etc. In addition, the two large body of works Limbo Garden and Garden are stationed side by side. The exhibition weaved together sculptures, people and forest through photo-sculpture, and the visitors in the space added a layer of complexity to the exhibition.

Gwon added dynamics in height through the pedestals and postures. Furthermore, he installed a shelf in one wall like an alcove in the architecture, and placed photo-sculptures in it[6].

Gwon works through countless drawings and notes in order to create one work. However, finishing a work doesn’t mean that the work is completed. In the process of conceptual diagram which works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works, he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s in terms of their narrative or form, segmentalizing them or lining them up in order. Through this process, Gwon aspires to reclaim the missing elements in his work and find directivity in the future oeuvre, while forming multi-layered organic network of meaning in his art practice by figuring out the definit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works.

 3.
At around 2010, Gwon’s new series of work unfolds a new tendency. As the inherent element and characteristic in each series affect other series, each of the series is transformed remarkably.

The series that showed the biggest change in terms of form is The Flat series. In Gwon’s  solo exhibition in 2011, there was the image of the monthly magazine Wallpaper in The Flat series. A magazine about architecture, fashion, travel, design and art, Wallpaper is a global magazine which presents the world’s hottest objects and scenes at the time of publication. Gwon usually makes one work using images from one volume of magazine. For example, 2005 June (2010) is composed of images only from the June 2005 volume of a magazine. Consequently, a motley collection of objects from architecture to design objects and graphic images appear in one image, presenting an open and sensational surface composition made of a patchwork of objects. Also, the wire which poked out shyly here and there in The Flat series now started to boldly present itself. The function of the wire had expanded, from not only propping up the paper images, to serving a sculptural purpose which produces a linear flow in the composition. The Flat series takes on a more experimental form in Gwon’s 2012 solo exhibition. In 2009, July (Head) (2012)[7], Gwon tests the sense of volume in 2-dimensionality by closing up on objects to the point where halftone dots are visible. He also accentuates on visual rhyme in 2011, December (Vase) (2012)[8] by arranging a repetition of objects of same size into different sizes, and in 2011, February (Prize) (2012) by focusing on an arrangement of similar shapes.

The Sculpture series was the highlight of his solo exhibition in Seoul in 2010. All five works in the exhibition portrayed motorbikes, in the shape of a torso with handles and wheels eliminated[9]. In art history, the concept of torso came about in the 19th century through Rodin. Before Rodin, the torso was seen as an unstable body, and the common convention was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torso by itself to have any kind of aesthetic value. However, Rodin produced torsos in his conviction that the unstable form can activate the imagination much more than the completed form can.

What catches the attention in the new body of works colored in brilliant colors is a peculiar-looking pedestal with wheels. Used as a potter’s wheel, this pedestal is a tool that’s used in the production process. The sense of volume can hardly be felt in the pedestal itself as the metals have been connected like wire rod, consequently greatly maximizing the torso’s sense of volume. Also, the surfaces of Gwon’s torsos are rather uneven. As the painter suggests the spirit of the painter through oil paint and the particular brushwork, Gwon also aspired towards contemporary sculpture that holds the touch of the sculptor’s spirit. Although he didn’t intend to encase the real spirit of the sculptor in the work, Gwon reflected on the peculiarity of sculpture and its charms that completely fascinate him.

The Flat and The Sculpture series focus on still objects. In general, these still objects are great objects that represent the times. Gwon made Bugatti Veyron, one of the three supercars in 2005, which also appears later on in The Flat series, in 2009, September (2011). A material for The Sculpture series had been used again for The Flat series.

In distinct contrast to the headless limbless torsos, the works that Gwon presented in Fashion into Art exhibition hosted by Vogue Korea were protective guards for the head and limbs. He regards these tools as a continuation of his The Sculpture series. The main point of this exhibition was that the artist and the designer work together as a team, and Gwon became a partner with the fashion designer Han Sang-Hyuck[10]. To combine a fashion show and a motorcycle race, Gwon installed a runway in the form of a motorcycle circuit. However, this was no ordinary runway. Reminiscent of pedestals, this runway was so narrow that it could barely support one person’s pathway, and it was dotted with severed parts, as well as stairs, balance beams and elevated passage throughout the runway.

Wearing clothes designed by Han, three fashion models wore motorcyclist’s protection gear  (for knees[11], elbows, back and head) designed by Gwon. Gwon coated synthetic resin on ordinary protection gear and colored them, producing special protection equipment. The guards on model’s head, back, elbows and knees definitely looked thick, as if something had been accumulated in layers and produced a sense of volume. Then Gwon assigned the models to walk on the re-created runway. However, the models couldn’t perform their elegant catwalk like on an ordinary runway, as they had to climb up and down the stairs, take the elevated pass, and even get on their knees and crawl in some parts. The model high up on the stairs and the model crawling on the floor created a sharp contrast.

A major leap in photo-sculpture took place, marked by diversification in the method of production. Contrary to Gwon’s previous works in which the artist himself took photographs of models and objects and printed them out, Gwon’s work took a pivotal turn in 2011 when he started searching, downloading and printing out internet images and fixing them unto his structures. This method was first applied in Sherpa (2011), in which a hiker wearing a backpack stands with a goat and an owl on his shoulders. While exploring ways of attaching lumps on photo-sculptures, which is an idea that has always fascinated the artist, Gwon came to put on hiking gear and animals on the human body. Putting on lumps on sculptures takes on a much more developed form later on in his photo-sculptures in 2012[12]. Although Gwon’s method of searching for images online in Sherpa might seem unfamiliar, Gwon had already created the Lamborghini Murcielago through searching on the internet without ever having actually seen the real object.

The representative example of this process is Untitled (Hockney) (2012), which portrays the artist David Hockney. Never having met Hockney in real life, Gwon found various pictures of Hockney from his twenties until now, and assembled them. Therefore, one can discover in a closer look, quite a few parts that are awkward in shape and color. Gwon claimed that the most difficult part was Hockney’s back, because people don’t usually take photographs of peoples’ backs. Thinking about ways of finding a picture of Hockney’s back, Gwon came across an image of his back from a 70s documentary film about the artist, and captured it. As a result, one can see the clear trace of pixels in the back part.

The most interesting photo-sculptures in the solo exhibition this year were Ruby Nike Bape (2012) and Untitled (2012). Inspired by Baroque sculptures, figures of various sizes surround the main character in the original works of these sculptures. Thus the original Baroque sculptures are relatively complex in form, and it’s precisely this complex composition that prompted Gwon to choose these sculptures.

“Smaller parts make up the whole in Ruby Nike Bape and Untitled. For example, the ankle part is easily breakable in marble sculptures of one standing figure, so it has a structure in which fabric, trees, angels or children are stuck to the form to strengthen it. I thought of that as attaching a lump like a type of molding. Attaching a lump can make the composition more complex and thus makes the work more interesting in form and narrative, and I thought that in a way, such act itself is a sculptural one.” (Excerpt from an interview with the artist, July 2012)

Ruby Nike Bape is a take-off on Gian Lorenzo Bernini’s Aeneas, Anchises, and Ascanius (1618-1619). In the original work, the main hero Aeneas is leaving the war-ridden Troy with his son Ascanius, propping up Anchises, his father with a limp. Gwon replaced these three figures with three people that he knows. The small person symbolizing Ascanius is holding onto a bottle of engine oil, wearing a Ruby (brand name) helmet and wearing Nike clothes. The engine oil and helmet are elements connected to Gwon’s previous motorcycle works. In the original work, Anchises is covering the lower half of his body with fabric that’s like sheep fur. Interestingly in this fabric, there’s a part that mimics a face, with eyes, nose and teeth. Inspired by this, Gwon thought of putting in clothes that has an image of eyes and teeth. Hooded shirts that zip up to the top of the head to complete a shark face were recently very popular, and the originator of such hooded shirt was called Bape Shark Hoodie. In this work, the hooded shirt  playfully portrays a shark’s eyes and teeth.

In front of this work is Untitled, which is based on the original work titled Apotheosis of Prince Eugene (1718-1721) by an Austrian sculptor Balthasar Permoser. This work was made for Prince Eugene of Savoy, the figure in the work. The prince was one of the most prominent soldiers in the modern history of Europe, and this sculpture is housed in his summer palace, Belvedere Palace.

Untitled came about when a collector in India asked Gwon to produce a work last year, and Gwon proposed that he would produce a photo-sculpture based on a work by Permoser. However, the collector wanted an Indian in the work. Gwon searched online for the national actor of India, and consequently came to feature Amitabh Bachchan as his model in the work. Gwon placed Bachchan in the center, with Miranda Kerr in front of him and Kanye West behind him. The figure that’s trampled underneath became a problem, because Gwon didn’t want to create political problems related to India’s caste system. Therefore, Gwon decided to put himself as the figure getting trampled over.

There is a round ball next to Bachchan’s face. Actually, this also appears in The Flat series, in 2011 October (3D) (2012). Gwon used images of ball-shaped marble and made the form. The angel in the original was replaced by a monkey, which also appeared in the photo-sculpture Volume (2011)[13].

 3+
Gwon’s work is normally divided into Deodorant TypeThe Flat, and The Sculpture series, probably because each series of work is so original and captivating. The Flat series and The Sculpture series seemed to cast a contrast when they were exhibited together in mid 2000. Since then, however, the sculptural language of each series started to deepen as each series started to affect each other and the gap between them has been continuously narrowing. In such process, it has become meaningless to distinguish the series, and even obsolete to forcefully attempt to classify the series.

Although this writing approached Gwon’s work in context of series for convenience sake, Gwon is an artist who escapes being categorized in a fixed and narrow sphere. He has always worked with an open attitude in an interdisciplinary style in sculpture, photography, installation and performance, going on further to broaden his practice working with other fields such as fashion and design. At times Gwon proposed groundbreaking ideas based on his unparalleled artistic sensibility, followed by a careful examination and reflection on his work. Gwon has always prioritized the practice of sculpture before individual art work, discourse of contemporary art before practice of sculpture, and meaning of artist before the discourse of contemporary art. Freely traversing different layers of thought including his work, practice of sculpture, discourse of contemporary art, and meaning of artist, Gwon’s exploration in these areas continues.


[1] Gwon even portrayed something as heavy as a boulder into a hollow photo-sculpture.

[2] The title of this work is A Statement of 420 Pieces on Twins (2001), and the woman and the boulder are not separable. The boulder also functions as a pedestal.

[3] The boulders of various sizes were used as sculptural aspects in the exhibition. Woks that followed, such as Hyde Park (2003) and Limbo Garden (2007) where a figure has his head in the bushes, and Garden (2007) in which a figure is buried by a pile of clothes, are works of same context.

[4] Gwon created the new term ‘Deodorant Type’, as if it were a method that already existed in history of photographic technology, such as Ambrotype and Daguerreotype.

[5] Gwon sees things that can support itself on the ground as sculpture in the wide sense of the word. Therefore, the simple sculptures in The Flat series are definitely sculptures.

[6] After this point, height in work installation becomes an important issue for Gwon. For example, each photo-sculpture and pedestal of the 5 human busts and 4 animal heads in Busts (2011-2012) differ in height measurement. Particularly, the exceptionally long neck of the ostrich is quite impressive.

[7] 2009, July (Head) portrays close-up shots of objects taken with a DSLR camera. A Large-format camera was used for the previous The Flat series.

[8] Images of the same object appear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surface in 2011, December (Vase). This is because the work uses all small images in the table of content in the magazine as well as the large images that follow.

[9] Gwon conceptualized The Sculpture series while he was an artist in residency at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s The National Art Studio, Changdong in 2005. As the doorframe of his studio was only about 80cm in width, he created motorbikes, which was something that was as close to cars in design, but could also pass through the doorframe of his studio. The first motorcycle had handles and wheels, but they were damaged when the work was transported between studios. He had no choice but to get rid of the handles and the wheels, and the motorcycle became a torso in form. Greek sculptures of human also naturally had limbs at first. Many become a torso as time passed, as they were neglected or moved around and their limbs broke off.

[10] Gwon created Lithuania collaborating for the first time with a Japanese department store company in 2002. Since then, Gwon has collaborated with various people and companies including Nike, Fendi and the pop group Keane.

[11] Motorcyclist’s knee guard is called ‘knee slider’. Knee Slider (2007) portrays the knee guard, and Slip Slider, and Back Slider (2007-2008) are also derivatives of this term.

[12] Annapurna Mirror Ball (2011) is a work in same context, and the model is stepping on a mirror ball. This mirror ball was the first actual object to be used in Deodorant Type series.

[13] Unlike previous photo-sculptures, Untitled consists of excessive number of people and things, including not only four human figures but also a monkey, round ball, broom, a level, tree, and trumpet. Such tight composition brings to mind the compact object placement in The Flat series.

권오상의 현대미술

류한승,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1.
일반적으로 권오상의 작업은 크게 ‘데오도란트 타입 (Deodorant Type)’, ‘더 플랫 (The Flat)’, ‘더 스컬프쳐 (The Sculpture)’로 구성된다. 1998년 초부터 시작된 ‘데오도란트 타입’은 연작 중 가장 오래되고 널리 알려진 작업이다. 소위 ‘사진조각’이라고도 불리는 이 시리즈는 대상을 여러 각도에서 촬영한 후 인화된 사진을 오려 붙이는 방식을 취한다. 현대미술사에 전례가 없을 만큼 그 아이디어가 탁월하고 창의적이었다. 당연히 하루아침에 그것이 나온 것은 아니다. 현대미술에 대한 깊은 이해, 카메라의 속성, 조소의 조형언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로 탄생한 역작이다.

그의 첫 작품은 목조용 ‘끌’을 재현한 것이었다. 단단한 쇠와 나무로 이루어진 조각도구를 연약한 종이로 표현하였다. 이어서 그는 두상, 흉상, 반신상, 전신상 등을 차례로 제작하면서 작업의 영역을 넓혀 갔다.[1] 1999년 8월 <쌍둥이에 관한 540장의 진술서 A statement of 540 pieces on twins> (1999)를 “진공포장전”(대안공간 루프 개최)에 출품하면서 그는 본격적으로 언론에 주목을 받는다. 그리고 2000년 2월 권오상은 대학을 졸업한다. 어떤 누구보다도 빠르고, 세련되고, 완벽한 데뷔였다.

권오상의 사진조각은 말 그대로 사진을 이용한 조각이다. 사진은 3차원의 입체를 2차원의 평면으로 재현한다. 입체가 평면이 되기 때문에 실제의 대상을 사진에 정확히 옮길 수 없다. 그 사라진 입체성을 복원하기 위해 그는 수많은 사진을 ‘소조’처럼 이어 붙여서 입체물을 구축하였다. 언뜻 보기에 사진의 약점을 보완한 기발한 방법으로 보이지만, 애당초 사진은 대상을 완벽히 재현할 수 없으며 오히려 대상을 왜곡할 수 있다는 가정에서 그는 출발했다. 사진은 기계의 눈으로 입체의 한 부분을 평면적으로 포착할 뿐이다. 그 포착한 부분은 사실이지만, 그 부분 부분을 이어 붙이다 보면 원형과는 전혀 다른 것이 될 수도 있다. 즉 각각의 진술서는 사실이지만, 그 진술서를 어떻게 묶느냐에 따라 결과는 천차만별이다.

더불어 사진의 특성에는 확대, 축소, 복사 등이 있다. <쌍둥이에 관한 540장의 진술서 A statement of 540 pieces on twins >과 같이 그는 하나의 소스로 두 인물을 만들었다. 실재와 가상이 교묘히 혼합된 모호한 존재가 태어났다.

2001년 6월 권오상은 첫 번째 개인전을 개최한다. 전시제목은 바로 ‘데오도란트 타입’이었고, 외계인, 자동차, 두 마리의 강아지, 쌍둥이, 바위 등 다양한 소재의 사진조각을 선보였다. 먼저 이 전시에서 전체공간을 설명해주는 단서는 <중국식 정원 Chinese Garden>(2001)이라고 작가는 밝힌다. 바위를 묘사한 이 작업은 높이가 2미터 너비가 1.5미터에 달할 정도로 규모가 제법 큰 작업이다. 그는 이 바위를 메인 공간(약 330㎡)이 아닌 뒤편에 작은 공간에 놓았고, 흰 가운을 입고 망원경을 들고 있는 여자를 그 근처에 세웠다. 이 여자는 돌부리에 올라가 있다.[2] 그리고 메인 공간에는 다마스 자동차, 외계인, 뒤엉켜 있는 쌍둥이, 강아지 두 마리, 돌부리 등을 위치시켰다.

 “일본식 정원을 보면 종종 돌이 있다. 나는 그 돌이 굉장히 조형적인 요소라 생각한다. 돌이 산일 수도 있고, 그것을 둘러싼 것은 바다일 수도 있다. 다분히 상징적이다. 전시를 구성할 때, 여백을 채우는 입장에서 전시장에 많은 작품을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런데 마치 바둑을 두듯이 어떤 포인트에 조그만 것을 놓으면, 그것이 비록 중심은 아니더라도 중심의 역할을 할 수 있고, 그것을 통해 전체를 말할 수 있으며, 공간에 악센트가 생길 수 있다.”[3] (작가와의 인터뷰 중에서, 2012년 7월)

전시제목 ‘데오도란트 타입’에서 ‘데오도란트 (Deodorant)’는 방취제를 뜻하는 말로, 사람의 채취 혹은 암내를 완화시키는 용품을 지칭한다. 이 제품은 냄새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제거하기 보다는 좋지 않은 냄새를 슬쩍 다른 것으로 바꾸어 사람들이 그 냄새를 못 느끼게 한다. 이는 여러모로 사진조각의 속성과 유사하다. 권오상은 사진이란 매체로 대상을 포착하지만, 그 포착한 이미지가 조합되면서 본래 대상과는 살짝 다른 것이 만들어진다.[4]

2.
권오상은 2003년 ‘더 플랫’ 연작, 2005년 ‘더 스컬프쳐’ 연작을 연달아 발표한다. 10그램도 나가지 않는 단순한 조각과 2톤에 이르는 육중한 조각은 감히 한 작가의 작품으로 보기 힘들 만큼 간극이 몹시 커 보였다.

익히 알려져 있듯이 그는 잡지의 시계, 화장품, 보석 등 광고사진을 오린 후 사진 뒤에 철사를 붙여 바닥에 세웠다. 바람에 날릴 정도로 가벼운 이 조각을 그는 세상에 혼자 내보내지 않고, 다수의 조각을 설치한 후 촬영하여 사진으로 프린트하였다. 입체(상품)→평면(잡지의 이미지)→입체(조각)→평면(사진)으로 반전의 반전을 거듭한 ‘더 플랫’ 시리즈는 사진의 평면과 조각의 입체를 절묘하게 결합시킨 ‘데오도란트 타입’ 연작과 뚜렷한 연관성을 갖는다.

사진조각에서 눈, 코, 입, 귀 등을 자세히 보면, 의외로 평면적이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물론 이목구비를 보다 입체적으로 만들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런데 ‘더 플랫’ 연작의 단순한 조각을 유심히 보면, 의외로 입체적이라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은근슬쩍 드러나는 철사를 통해 이 조각이 분명 바닥에 서 있다는 것, 즉 엄연한 입체구조물이라는 것을 과시하고 있다. 물론 충분히 감출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더 스컬프쳐’ 연작 중 가장 놀라운 <The Sculpture Ⅱ>(2005)는 슈퍼카 ‘람보르기니 무르시엘라고(Lamborghini Murcielago)’를 청동으로 만들고, 그 표면에 아크릴 물감을 칠한 작업이다. 작가는 실물을 한번도 보지 않은 채 인터넷, 서적, 잡지, 미니카 등에서 정보를 수집하여 자동차 형상을 제작하였다. 여러 매체에서 따로따로 얻은 정보를 합친 것으로 이는 진술서의 모음과 비슷하며, ‘데오도란트 타입’ 연작의 방식과 뚜렷한 연관성을 갖는다. 게다가 조각은 원형을 만들고 석고 틀을 떠내는데, 이 과정은 필름에서 네거티브를 만드는 것과 같으며, 석고 틀을 조립해서 다시 원형을 만드는 작업은 사진의 인화 과정에 들어맞는 것이다.

<The SculptureⅡ>의 제작과정이 화제가 되어 주재료가 청동이란 사실을 이미 알았던 사람도 있었지만, 이 작품은 표면에 두꺼운 주황색 페인트가 칠해져 있어, 어렴풋이 보면 이것의 재질을 제대로 가늠하기 어렵다.(플라스틱에 채색이라고 예상할 가능성이 있음) 그러나 직접 만지면 재료가 청동이란 걸 직감할 수 있으며, 그 순간 이것이 매우 무겁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The Sculpture Ⅷ – Still life>(2006)는 후속작이다. 이 작품부터 ‘더 스컬프쳐’ 연작에 다색이 적용되었다. 작업실 풍경을 다룬 작업으로 큰 조각대 위에 각종 물건이 올라가 있으며, 물건들과 조각대는 일체형이다. 그는 <모호한 420장의 진술서>에서 돌로 조각대를 은유한 적이 있었지만, 사실상 그는 이전까지 조각대를 거의 사용하지 않았으며, 조각을 세우기 위해 바닥에 장치를 하지도 않았다.[5] 그런 그가 조각대를 예의주시했다. 조각대가 가진 속성이 예사롭게 보이지 않아서였다.

2000년대 중반 ‘데오도란트 타입’ 시리즈도 변화를 맞이한다. 위 두 연작과 함께 전시된 2006년 개인전에서, 권오상은 ‘데오도란트 타입’ 연작과 조각가 로댕(Auguste Rodin)의 아이디어를 교차시켰다. 그는 총 5개의 사진조각을 공개했는데, <칼레의 시민>(1889)을 염두 한 것이다. <칼레의 시민>의 사람들은 모두 밧줄에 묶여서 저항 불가능한 상태이다. 권오상의 <Red Sun>(2005-2006)과 <Nobody>(2005-2006)의 모델은 옷을 벗고 있으며, <Gaze Motion>(2005)의 모델은 코트에 팔을 넣고 있고, <Error>(2005-2006)의 모델은 양손에 짐을 들고 있다. 모두 두 팔이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에 잠시 무방비가 되는 순간이다.

그리고 <Step>(2005-2006)의 남자모델은 조각대를 밟고 있다. 이 조각대의 크기는 <칼레의 시민>의 좌대 크기와 동일하다. 조각사에서 로댕은 낮은 좌대를 처음 사용한 작가로 알려져 있다. <Step>의 모델은 마치 계단을 오르듯이 편안하게 좌대에 한 발을 내딛고 있다. 이후에 제작된 <Slip Slider>(2006-2007)의 여자모델은 항상 좌대에서 넘어진 모습으로 설치된다. 부조 및 건축의 부수적 요소로 쓰인 조각을 제외한, 단독 조각상의 대다수는 전통적으로 좌대 위에 수직적으로 서 있는 경우가 많다. 좌대를 벗어나 수평적으로 바닥에 누워 있는 조각. 권오상만의 유쾌한 상상이다.

계속해서 2008년 6월 권오상은 맨체스터에서 개인전을 갖는다. 맨체스터 트리엔날레(Asian Triennial Manchester)와 레지던시 프로그램이 계기가 되어 맨체스터 시립미술관이 그에게 개인전을 제안하였다.

그가 맨체스터에 체류하면서 인상 깊게 본 것 중 하나가 공원이었다고 한다. 보통 유럽의 공원 안에는 작은 광장이 있고 거기에 인물상, 기마상 등이 놓인다. 이는 일종의 조각이 있는 공원인데, 권오상은 조각이 있는 공원을 관념적으로 옮겼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그에게 배정된 전시장은 천정이 6m 이상으로 상당히 높았다. 사진조각을 전시장에 단순히 늘어놓는다면, 높은 천정의 공간에 압도되어 매우 단조로운 구성이 될 게 뻔했다.

우선 권오상은 광장을 단순화한 낮고 넓은 조각대 2개를 전시장 가운데에 놓고, 전시장 곳곳에 사진조각을 배치하였다. 이 사진조각들은 각자만의 또 다른 조각대에 올라가 있었는데, 조각대마다 높이가 모두 달라 어떤 것은 우뚝 솟기도 하고 어떤 것은 평범하기도 하였다. 또한 기마상을 연상시키는 <Manchester Mounted Police>(2008)가 전체 공간을 조망하며, 그 맞은편에는 <Pieta>(2007)가 자리하였다. 그리고 조각상 기단에 기댄 사람, 조각상 옆에 쓰러진 사람, 손을 보여 서 있는 사람 등이 설치되었다. 이어서 덩어리감이 있는 <Limbo Garden>과 <Garden>이 나란히 놓여졌다. 이는 사진조각만으로 조각상, 사람, 숲이 뒤엉킨 광경을 연출한 것으로, 관객이 더해지면서 더욱더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되었다.

이와 같이 그는 다양한 높이의 조각대와 포즈를 통해 높이의 강약을 주었고, 게다가 건축의 벽감처럼 한 벽에 선반을 설치하고 그 위에 사진조각을 올려놓았다.[6]

권오상은 하나의 작업을 만들기 위해 수많은 드로잉과 작가노트를 작성한다. 하지만 작업이 마무리 되었다고 그의 일이 끝나는 건 아니다. 그는 작품 간의 관계를 풀어내는 이른바 ‘개념도’에서 작품 간의 영향관계를 내용적으로 또는 형태적으로 고려하여 작업들을 계열화시키거나 순서대로 나열한다. 이를 통해 종종 작업의 전개에 있어 빈 부분을 찾게 되며, 동시에 앞으로의 작업에 대한 방향성을 얻게 되고, 나아가 작업 간에 명확한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작품들이 중층적이고 유기적인 의미 망을 형성하길 희망한다.

3.
2010년을 즈음하여 권오상의 세 연작은 새로운 양상으로 전개된다. 각 연작이 가진 고유한 요소 및 특징이 다른 연작에 영향을 주면서 각각의 연작이 현저하게 변모된다.

형식적으로 제일 큰 변화를 보인 건 ‘더 플랫’ 연작이다. 2011년 개인전에 나온 ‘더 플랫’에는 월간잡지 “월페이퍼 (Wallpaper)”의 이미지가 쓰였다. “월페이퍼”는 건축, 패션, 여행, 디자인, 미술 등을 다루는 잡지이며, 전 세계를 대상으로 발간되는 다국적 잡지이고, 발간 시점마다 지구상의 가장 멋진 사물과 장면을 담고 있다. 권오상은 주로 한 권의 잡지에서 오려낸 이미지로 하나의 작품을 만든다. 예를 들어 <2005 June>(2010)은 2005년 6월호에 실린 이미지로만 구성된다. 따라서 건축물과 디자인된 사물, 그래픽 등을 포함하여 다채로운 물건이 한 화면에 등장하며, 각양각색의 물건으로 인해 보다 자유롭고 파격적인 화면구성이 나타난다. 또한 이전 ‘더 플랫’에서 살짝살짝 보였던 철사는 이제 과감하게 드러나기도 한다. 철사는 종이를 지지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화면구성에 있어 선적인 흐름을 생성하는 조형요소인 셈이다.

이어진 2012년 개인전에서 ‘더 플랫’은 좀 더 실험적으로 바뀌는데, 그는 <2009, July (Head)>(2012)[7]처럼 망점이 보일 정도로 사물을 클로즈업하여 평면에서의 양감을 테스트하며, <2011, December (Vase)>(2012)[8]처럼 동일한 사물을 크기가 다르게 반복 배치하거나 <2011 , February (Prize)>(2012)처럼 유사한 모양을 집중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시각적 라임(rhyme)을 부각시켰다.

다음으로 ‘더 스컬프쳐’ 연작은 2010년 서울 개인전에 집중적으로 소개되었다. 출품된 5점은 모두 오토바이를 소재로 한 작업으로 핸들과 바퀴가 제거되었기에 토르소의 형태를 띠었다.[9] 미술사적으로 토르소의 개념은 19세기 로댕과 연관되어 형성되었다고 이야기된다. 로댕 이전까지 불안전한 인체, 즉 인체의 몸통만으로는 미적 가치를 가지기 어렵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로댕은 불안전한 형태가 완벽한 형태보다 도리어 상상력을 더 자극시킬 수 있다는 가정 하에 본격적으로 몸통만을 만들었다.

화려한 색으로 채색된 이 신작에서 눈에 띄는 것은 바퀴가 달린 독특한 조각대이다. 돌림판의 역할을 하는 이 받침대는 제작과정에서 사용되는 기구이다. 선재(線材) 방식으로 금속을 연결했기에 조각대 자체에서 부피감을 거의 느낄 수 없지만, 그 덕분에 토르소의 양감이 훨씬 극대화되었다. 그리고 그의 토르소 조각 표면은 다소 울퉁불퉁한 편이다. 화가가 오일페인트와. 특유의 붓질(brushwork)로 화가의 혼을 암시하듯이, 권오상 역시 조각가의 혼이 담긴 터치를 생각하며, 그런 터치가 있는 현대조각을 제작하길 원했다. 그렇다고 조각가의 진짜 혼을 작업에 담고자 한 것은 아니었지만, (그러면서 실제로 혼이 담겼을 수도 있음) ‘더 스컬프쳐’ 연작을 하면서 그는 조각이라는 장르의 고유성을 되새겼고, 동시에 조각의 매력에 매료되었다.

이처럼 ‘더 플랫’과 ‘더 스컬프쳐’ 연작은 정물을 다루고 있다. 이 정물들은 공통적으로 이 시대를 대표하는 훌륭한 물건이다. 작가는 2005년 3대의 슈퍼카를 제작했는데, 그 중 하나가 부가티 베이론(Bugatti Veyron)이었고, 이 자동차가 나중에 ‘더 플랫’ 연작인 <2009, September>(2011)에 나오기도 한다. ‘더 스컬프쳐’에서의 소재가 ‘더 플랫’의 소재가 된 것이다.

팔, 다리, 머리가 없는 토르소와 대조되게, 2011년 여름 보그 코리아(Vogue Korea)가 주최한 “Fashion into Art”전에서 권오상이 선보인 작품은 팔, 다리, 머리를 보호하는 장비였다. 그는 이 장비를 ‘더 스컬프쳐’ 연작의 연장으로 간주한다. 이 전시는 미술가와 디자이너가 한 팀이 되어 작업하는 것이 주요 골자였고, 권오상은 패션 디자이너 한상혁과 파트너가 되었다.[10] 패션쇼와 오토바이 경주를 결합하고자 했던 권오상은 전시장에 서킷(circuit, 오토바이 경기장) 형태의 런웨이를 설치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인 런웨이는 아니었다. 조각대를 닮은 이 런웨이는 한 사람이 겨우 지나다닐 정도로 좁았고, 중간에 끊어진 부분이 군데군데 있었으며 계단, 평균대, 구름다리도 있었다.

한상혁이 디자인한 옷을 입은 3명의 패션모델들은 권오상이 고안한 오토바이 보호대(무릎[11], 팔꿈치, 등, 머리)를 착용하였다. 권오상은 기존 보호대에 합성수지를 덧씌우고 채색하여 특수한 보호대를 만들었다. 이 보호대를 찬 모델의 머리, 등, 팔꿈치, 무릎은 확실히 두툼하게 보였다. 마치 무언가가 차곡차곡 더해져 양감이 생성된 것 같았다. 그리고 권오상은 이 모델들이 개조된 런웨이를 다니도록 하였다. 그렇지만 모델은 여느 패션쇼처럼 우아하게 걸을 수는 없었다. 모델은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손으로 구름다리를 이동했으며, 심지어 일부 구간에선 엎드려 기어가야만 했다. 높은 계단에 올라 꼿꼿이 서 있는 모델과 바닥에 엎드린 모델의 모습은 극명하게 대비되었다.

마지막으로 사진조각에서도 주목할 만한 도약이 일어난다. 먼저 제작방식이 다원화된다. 과거에는 모델이나 사물을 촬영한 후 그 이미지를 인화하였다면, 2011년부터 권오상은 인터넷에서 검색하여 내려 받은 이미지를 출력하여 구조물에 붙인다. 이 방식이 처음 도입된 작업은 <Sherpa>(2011)인데, 가방을 등에 멘 등산객이 어깨에 염소와 부엉이를 짊어지고 있다. 이전부터 조각에서의 덩어리에 관심이 많았던 작가는, 사진조각에 덩어리를 붙이는 것을 모색하던 중, 마침 등산 관련 에피소드를 겪으며, 인체에 등산용품과 동물을 덧붙이게 된다. 이렇게 덩어리를 붙이는 방식은 이후 2012년 사진조각에서 더욱더 발전된 형태를 보인다.[12] <Sherpa>에서 취했던 검색 방식이 다소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이미 권오상은 ‘람보르기니 무르시엘라고’를 재현하면서 실물을 보지 않고 검색 등의 방법으로 작업을 진행한 바 있다.

이 방법의 대표적 예라고 할 수 있는 <Untitled(Hockney)>(2012)는 데이빗 호크니(David Hockney)를 모델로 한 작품이다. 그를 직접 만난 적이 없었던 권오상은 인터넷에서 호크니의 20대부터 최근까지의 다양한 사진을 찾아서 조합했다. 따라서 이 작업을 자세히 보면, 모양과 색채가 이상한 부분이 꽤나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애를 먹었던 부위는 등이라고 한다. 사람들이 뒷모습을 잘 찍기 않기 때문이다. 여러 방법을 강구하다가 그는 호크니가 70년대에 찍은 다큐멘터리 영화에서 그의 뒷모습을 발견하고 그 이미지를 캡쳐하였다. 그런 까닭으로 등 부분에는 큰 픽셀의 흔적이 선명히 남아 있다.

올해 개인전에서 무엇보다 흥미로운 사진조각은 <Ruby Nike Bape>(2012)와 <Untitled>(2012)이다. 이 작품들은 모두 바로크 시대의 조각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며, 이 작품들의 원작은 크고 작은 사람이 주인공을 둘러싸고 있다. 그래서 비교적 복잡한 모습을 띠는데, 권오상이 이 조각들을 선택한 이유가 바로 그 복잡한 구성 때문이다.

 “<Ruby Nike Bape>, <Untitled>에는 작은 덩어리들이 붙어 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이 서있는 대리석 조각은 발목 부분이 깨지기 쉬워 천, 나무, 천사, 아이 등이 붙어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나는 그걸 일종의 소조처럼 덩어리를 붙이는 것과 같다고 생각했다. 덩어리를 갖다 붙이면 구성이 더 복잡해지면서 더 재미있을 수 도 있고 여러 가지 이야기도 만들 수 있겠지만, 어떻게 보면 그것 자체가 조각적인 행위라는 생각이 들었다.” (작가와의 인터뷰 중에서, 2012년 7월)

<Ruby Nike Bape>는 베르니니(Gian Lorenzo Bernini)의 <Aeneas, Anchises, and Ascanius>(1618-1619)를 모태로 한다. 원작에서 주인공 아이네이아스는 절름발이 아버지 안키세스를 업고, 아들 아스카니우스를 데리고 전쟁에 휩싸인 트로이를 빠져나가고 있다. 권오상은 이 세 사람을 자신의 지인으로 대치하였다. 그 중 아스카니우스에 대응하는 작은 사람은 엔진오일을 들고 루비(Ruby, 상표이름) 헬멧을 쓰고 나이키 옷을 입고 있다. 엔진오일과 헬멧은 이전 오토바이 작업과 연관된 소재이다. 그리고 원작에서 안키세스는 양털 같은 천으로 하체를 가리고 있다. 이 천에는 특이하게 눈, 코, 이빨 등 얼굴이 묘사된 부분이 있다. 여기서 힌트를 얻은 권오상은 눈과 이빨이 있는 옷을 떠올렸다. 지퍼를 머리끝까지 올리면 상어의 얼굴이 완성되는 후드티가 최근 유행했는데, 그 원조가 베이프 샤크 후디(Bape Shark Hoodie)였다. 이 옷에는 상어의 눈과 이빨이 익살스럽게 표현되어 있다. 권오상은 이 옷을 작업에 포함시켰다.

그 옆에 놓인 <Untitled>는 오스트리아 조각가 발타자르 페르모저(Balthasar Permoser)의 <Apotheosis of Prince Eugene>(1718-1721)이 원형이다. 이 작품은 주인공인 오이겐 왕자(Prince Eugene of Savoy)를 위해 만들어졌다. 그는 유럽 근대사에 있어 가장 뛰어난 군인 중 하나였으며, 이 조각은 그의 여름별장인 벨베데레 궁전에 소장되어 있다.

<Untitled>의 제작배경은 인도와 관련된다. 작년 인도의 한 컬렉션이 권오상에게 작품제작을 문의했고, 그는 페르모저의 작품을 기본으로 하는 사진조각을 제작하기로 제안한다. 그런데 인도 측에서는 인도사람이 작업에 포함되길 원했다. 권오상은 ‘인도의 국민배우’를 검색하였고, 그 결과 아미타브 밧찬(Amitabh Bachchan)을 모델로 선정하게 된다. 작가는 밧찬을 중앙에 놓고, 그 앞에는 미란다 커(Miranda Kerr)를 뒤에는 카니에 웨스트(Kanye West)를 위치시켰다. 문제는 주인공 밑에 깔린 사람이었는데, 카스트 제도와 관련된 정치적 문제가 생기는 것을 피하기 위해 작가 스스로가 그 아래에 들어가기로 결심한다.

밧찬의 얼굴 옆에는 둥근 공이 있다. 사실 이것은 ‘더 플랫’ 연작인 <2011, October (3D)>(2012)에도 나온다. 그는 공 모양의 대리석 이미지를 활용하여 입체를 만들었다. 또한 원작에 있던 천사는 원숭이로 대치되었다. 이 원숭이는 이미 사진조각 <Volume>(2011)에 출연한 적이 있다.[13]

3+
보통 권오상의 연작은 ‘데오도란트 타입’, ‘더 플랫’, ‘더 스컬프쳐’라고 일컬어진다. 아마도 각각의 작업이 너무도 독창적이고 매력적이어서 그렇게 되었을 것이다. 2000년대 중반 ‘더 플랫’과 ‘더 스컬프쳐’가 같이전시되었을 때 두 연작은 상이해 보였지만, 이후 연작마다 고유의 조형언어가 풍성해지고, 더불어 각 연작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연작과 연작 사이의 간극이 지속적으로 좁아지고 있다. 그러다 보니 연작의 구분은 무의미해지고, 억지로 연작을 구분하는 것도 구태의연하게 보인다.

편의상 그의 작업을 연작의 개념에서 접근했지만, 처음부터 권오상은 어떤 고정되고 협소한 영역에 종속된 사람은 아니었다. 그는 항상 열린 태도로 조각을 비롯하여 사진, 설치, 퍼포먼스 작업을 선보였고, 나아가 패션, 디자인 등 다른 분야와의 접속도 주저하지 않았다. 때론 그만의 예술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획기적인 개념을 제시했고, 그와 함께 면밀하게 자신의 작업을 뒤돌아보기도 하였다. 그는 하나의 작업보다는 조각을 고민했고, 조각보다는 현대미술을 고민했으며, 현대미술보다는 예술가의 의미를 고민하였다. 하나의 작업, 조각, 현대미술, 예술가의 의미. 그는 이 레벨들을 자유롭게 횡단하며 예술적 탐험을 계속할 것이다.


[1] 권오상은 무겁다고 여겨지는 ‘돌’을 속이 텅 빈 사진조각으로 만들기도 하였다.

[2] 이 작품의 제목은 <모호한 420장의 진술서 A statement of 420 pieces on twins >(1999)이며, 돌과 여자는 일체형이어서 분리되지 않는다. 이 돌은 조각대의 역할을 한다고도 볼 수 있다.

[3] 크고 작은 돌덩어리들은 전시에서 조형적 요소로 활용되었다. 이후 덤불에 얼굴이 묻힌 <Hyde Park>(2003)와 <Limbo Garden>(2007), 수북이 쌓인 옷에 깔린 여자를 표현한 <Garden>(2007) 등이 같은 맥락의 작업이다.

[4] 권오상은 암브로타입(Ambrotype), 다게레오타입(Daguerreotype)과 같이 사진기술사에 이미 존재하는 기법인 것처럼 ‘타입(type)’을 붙여 ‘데오도란트 타입 (Deodorant Type)’이라는 신조어를 만들었다.

[5] 그는 바닥에 스스로 설 수 있는 것을 넓은 의미에서 조각으로 본다. 그런 면에서 ‘더 플랫’의 단순한 조각도 분명 조각인 것이다.

[6] 이후 작품설치에 있어 높낮이는 그에게 중요한 문제가 된다. 예컨대 5개의 인물 흉상과 4개의 동물 머리로 구성된 <Busts>(2011-2012)의 경우, 각 사진조각의 높이뿐만 아니라 조각대 높이도 조금씩 다르다. 특히 유난히 긴 타조의 목이 인상적이다.

[7] <2009, July (Head)>은 DSLR 카메라로 사물을 클로즈업한 작업이다. 이전 ‘더 플랫’ 연작에서는 대형필름 카메라를 이용했다.

[8] <2011, December (Vase)>의 화면 위아래에 같은 사물의 이미지가 나타난다. 이것은 잡지 목차에 실린 작은 이미지와 이후에 나온 큰 이미지를 모두 사용했기 때문이다.

[9] 권오상은 2005년 국립현대미술관 창동창작스튜디오에 입주해 있으면서 ‘더 스컬프쳐’ 연작을 구상했다. 그가 지냈던 스튜디오의 문이 80cm 정도 밖에 되지 않아, 그 문을 통과할 수 있는 자동차와 가장 유사하게 디자인된 사물인 오토바이를 만들었다. 최초의 오토바이에는 핸들과 바퀴가 있었는데, 작업실을 이전하다가 핸들과 바퀴가 손상되고 만다. 어쩔 수 없이 핸들과 바퀴를 없애면서 작품은 토르소의 형태가 되었다. 그리스 시대의 인체조각도 처음에는 팔다리가 당연히 있었다. 그런데 시간이 흘러 조각이 방치되거나 옮겨지는 등 관리가 소홀해지면서 팔다리가 잘려나가 토르소의 형태가 되기도 한다.

[10] 2002년 권오상은 일본 백화점 업체와 처음 콜라보하면서 <Lithuania>를 제작한다. 이후 그는 나이키(Nike), 펜디(Fendi), 팝 그룹 킨(Keane) 등 여러 사람들과 콜라보하였다.

[11] 오토바이 무릎보호대를 ‘knee slider’라고 한다. <Knee Slider>(2007)가 이와 직접 관련되며, <Slip Slider>, <Back Slider>(2007-2008)의 제목도 여기서 파생되었다.

[12] <Annapurna Mirror Ball>(2011)도 같은 맥락의 작업인데, 이 작업에서 모델은 미러볼을 밟고 있다. 이 미러볼은 실제 사물로서 ‘데오도란트 타입’ 연작에 최초로 오브제가 쓰인 것이다.

[13] 이전 사진조각과 다르게 <Untitled>에는 4명의 사람뿐만 아니라 원숭이, 둥근 공, 빗자루, 수평계, 나무, 나팔 등 과할 정도로 많은 사람과 사물이 등장한다. 이러한 촘촘한 배치는 ‘더 플랫’ 연작의 조밀한 사물 배치를 연상시키기도 한다.